Skip to main content

고3 남학생의 경우, 한 반 30명 중 약 7명이 온라인 도박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으며, 다른 반의 경우 30명 중 15명 이상이 온라인 도박을 하고 있다고 했다. 중3 학생의 경우, 작년과 올해 반 친구들 중 도박으로 번 돈을 자랑하며 다른 친구들에게 권유하는 일이 문제가 되고 있다고 했다. 더 놀라운 것은, 이러한 상황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라 이미 몇 년 전부터 지속되어온 일이라는 것이다.

 

청소년 온라인 도박의 실태

지난 3월 1일 방송된 KBS의 시사 탐사보도 프로그램 “추적 60분”(1357회)에서는 청소년 온라인 도박 실태에 대해 다뤘다. 보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의 불법 도박 시장 규모는 102조 7천억 원이며, 그중 온라인 도박은 37조 5천억 원에 달한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초중고생들이 이 온라인 도박 시장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실태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 4명 중 1명이 온라인 도박을 경험했으며, 도박 중독으로 일상에 문제가 있는 학생도 전체의 4.8%에 달하는 19만 명에 이른다고 한다. 

최근 청소년 온라인 도박 문제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청소년 전문 잡지 “유레카”에서는 이를 5월 키워드 리포트로 심층 분석했다. 이 기사를 읽은 후에, 필자는 고3과 중3인 두 자녀에게 현재 반 친구들 중 온라인 도박을 하고 있는 친구들이 있는지 물어보았다.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고3 남학생의 경우, 한 반 30명 중 약 7명이 온라인 도박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으며, 다른 반의 경우 30명 중 15명 이상이 온라인 도박을 하고 있다고 했다. 중3 학생의 경우, 작년과 올해 반 친구들 중 도박으로 번 돈을 자랑하며 다른 친구들에게 권유하는 일이 문제가 되고 있다고 했다. 더 놀라운 것은, 이러한 상황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라 이미 몇 년 전부터 지속되어온 일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학교나 교육 당국에서는 이 문제를 심각하게 여기지 않고 방치해 왔으며, 인터넷 매체나 방송에서 문제를 지적하자 이제서야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이다.

 

 

청소년 온라인 도박을 방치한 이유

유레카 필진은 이렇게 청소년 온라인 도박 문제를 방치한 이유를 세 가지로 분석했다. 첫째, 어른들은 청소년들이 경제적 여유나 능력이 없기 때문에 도박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고 지레짐작했다는 것이다. 둘째, 청소년들이 미성년이기 때문에 도박에 접근하기 어렵다고 생각했다. 이는 대부분의 도박이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온라인 도박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판단에서였다. 셋째, 학교와 학원에 있는 시간이 많고 학업이 과중해서 도박할 시간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는 것이다.1) 그러나 현실은 달랐다. 최근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의 자료에 따르면 2015년에서 2018년 3년 동안 도박중독 치료 서비스를 받은 청소년 숫자가 168명에서 1027명으로 6배 증가했다.2)

그 이유는 청소년들은 온라인에 익숙하기 때문에 온라인 도박 사이트 접속이 성인보다 쉬우며, 특히 청소년들이 좋아하는 음악, 영화, OTT 서비스, 웹툰 등을 무료로 볼 수 있는 불법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도박으로 유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온라인 도박 사이트 운영자들은 청소년들을 포섭해 자기가 다니는 학교와 반에서 도박 이용자를 모집하는 브로커와 총첵 역할을 맡겨서 일정 비율의 수수료를 이들에게 지급한다고 한다. 이렇게 조직적으로 청소년들을 불법 도박 사이트로 운영하고 있으며, 유인된 청소년들을 초기에는 돈을 딸 수 있게 만든 후에 나중에는 돈을 잃게 하여 점점 도박에 중독되게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만약 큰 빚을 지게 되면 성매매나 범죄에 가담시켜 불법적인 방법으로 돈을 갚게 하여 일종의 노예처럼 부려먹는 것이다.

 

도박 중독에 더 취약한 청소년 

이렇듯 불법 온라인 도박 사이트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직적이며 공격적으로 홍보하고 운영하는 이유는, 청소년이 성인에 비해 도박 중독에 취약하다는 점을 악용하는 것이다. 정신의학신문에 “청소년의 뇌는 왜 중독에 취약할까?”라는 글을 기고한 최강록 정신건강과 전문의는 “청소년은 성인보다 더 쉽게 자극 추구적이고 쾌락과 보상을 갈망하는 중독의 유혹에 빠져들 위험성이 높다”고 진단한다.3) 이는 청소년의 뇌가 성인의 뇌보다 중독에 더 취약한 구조와 관련된 호르몬 및 신경전달물질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러한 청소년의 취약한 중독 성향을 이용해 온라인 도박 사이트 운영자들이 중고등학교 교실을 일종의 도박장으로 만들고 있는 것이다.

작년 말 경복궁 담장에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를 홍보하는 낙서를 한 10대 청소년들의 배후에는 ‘이 팀장’으로 불리는 불법 온라인 도박장을 홍보하는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를 운영하는 30대 남성이 있었다(5월 초에 경찰에 잡혔음). 낙서범인인 10대 청소년들은 불법 도박 사이트를 홍보하는 텔레그램 방에서 이 팀장을 만났고, 300만 원을 받기로 하고 범행을 지시받았다고 한다.4) 이처럼 불법 도박 사이트는 청소년들 사이에 깊숙이 침투해 이들을 온라인 도박 중독과 제2차 범죄로 이끄는 통로가 되고 있다.

 

최강록 정신건강과 전문의는 “청소년은 성인보다 더 쉽게 자극 추구적이고 쾌락과 보상을 갈망하는 중독의 유혹에 빠져들 위험성이 높다”고 진단한다. 이는 청소년의 뇌가 성인의 뇌보다 중독에 더 취약한 구조와 관련된 호르몬 및 신경전달물질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러한 청소년의 취약한 중독 성향을 이용해 온라인 도박 사이트 운영자들이 중고등학교 교실을 일종의 도박장으로 만들고 있는 것이다.

 

 

도박 중독의 핵심 요인, ‘비합리적 도박 신념’

학자들은 범죄에 까지 가담하게 만드는 도박에 중독되는 핵심 요인을 ‘비합리적인 도박 신념’(Irrational Gambling Beliefs)의 강화에 있다고 지적한다. 비합리적인 도박 신념(Irrational Gambling Beliefs)은 도박자가 도박 활동의 결과를 비논리적으로 예측하거나 도박 행위를 합리화하는 잘못된 사고 방식이다. 이러한 신념은 도박 중독을 심화시키고 재정적, 정신적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 주요 비합리적인 도박 신념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통제의 환상 (Illusion of Control)

도박자는 자신이 도박의 결과를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다. 예를 들어, 특정 방법으로 주사위를 던지거나 슬롯 머신을 당기는 방식이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도박 결과가 순전히 우연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무시하는 것이다.

 2. 대표성 휴리스틱 (Representativeness Heuristic)

도박자는 짧은 샘플이 전체 확률을 대표한다고 믿는다. 예를 들어, 동전을 던질 때 연속해서 앞면이 나왔기 때문에 다음 번에는 뒷면이 나올 확률이 높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각 동전 던지기는 독립적인 사건이며, 이전 결과가 다음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갬블러의 오류 (Gambler’s Fallacy)

도박자는 특정한 결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한다고 믿는다. 예를 들어, 슬롯 머신이 “뜨거워졌다”고 믿고 곧 큰 승리가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는 도박 기계의 결과는 독립적이고 무작위적이다.

4. 확신 편향 (Confirmation Bias)

도박자는 자신의 승리 경험을 과대평가하고, 패배 경험을 과소평가한다. 이는 도박의 위험성과 손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게 하며, 도박을 계속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5. 주관적 확률 (Subjective Probability)

도박자는 실제 확률과 상관없이 자신이 이길 가능성을 과대평가한다. 예를 들어, 복권 당첨 확률이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당첨될 것이라고 확신하는 경우이다.

6. 도박 미신 (Gambling Superstitions)

도박자는 특정한 행위나 물건이 도박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는다. 예를 들어, 행운의 숫자나 특정 의상을 입으면 이길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합리적인 도박 신념은 도박 중독의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며, 도박자들이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판단을 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것이다. 

 

청소년의 비합리적 도박 신념을 강화시키는 요인

2020년, 이화여대 전종설 교수팀은 한국 청소년들의 도박 실태를 연구한 결과, 이들의 비합리적 도박 신념을 강화시키는 요인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핵심 요인으로 도박 접근성, 우울감, 충동성을 지적했다.5)

1. 도박 접근성

도박에 접근할 수 있는 경로가 손쉬울수록 도박에 빠지거나 중독될 위험성이 높다는 것이다. 특히 온라인 도박은 청소년들이 전화번호와 간단한 인적 사항만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무료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나 인터넷 만화 사이트를 통해 광고하는 온라인 도박 사이트에 마우스 클릭 하나로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2. 우울감

연구 결과, 한국 청소년들이 우울증이 심할 경우 도박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또한, 도박 중독은 우울증을 더 심각하게 만든는 상호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여러 이유로 심리적 우울감을 겪게 될 경우, 원활한 대인 관계가 어려워지며 그 결과 혼자 있거나 무언가에 빠지는 경향이 높아진다. 그리고 그 대상이 온라인 도박인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3. 충동성

마지막으로, 청소년기의 높은 충동성이 도박에 빠지는 주요 요인이라는 것이다. 충동성의 긍정적인 면은 호기심이라 할 수 있다. 호기심을 긍정적으로 발현시키면 높은 학업 성취와 자아 성숙의 계기가 되지만, 부정적일 경우 금기시되는 것을 시도하는 충동성으로 발전할 수 있다. 호기심 많은 청소년기에는 도박이 충동성을 부추기는 부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도박과 복권은 가짜 복음

교회 안, 청소년들 중에서도 온라인 도박에 노출되거나 이미 중독 상태에 있는 청소년들이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교회적 대책과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사실 교회 안에서, 로또와 같은 복권의 문제점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설교 시간에 로또를 예로 들거나, 이를 웃기기 위한 소재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접근은 로또와 복권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와 거부감을 희석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 학자들도 복권과 도박의 심리적 메커니즘이 다르지 않다고 보고 있으며, 복권이 대중화된 곳에서는 도박의 비중도 높다는 것이 연구 결과로 드러나 있다.6) 그러나 많은 사람이 복권을 사고, 드라마 등에서 이를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이유로 교회에서도 이 문제를 심각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다. 청소년들 중에는 복권을 사서 헌금을 크게 하겠다는 생각을 가진 이들도 있다. 이것은 어른들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태도를 성경적으로 어떻게 봐야할까?

위와 같은 사고방식은 어떤 방법으로든 돈만 많이 벌면 된다는 일종의 만몬(돈신)이 신자들의 우상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수님은 산상수훈에서 우리에게 이렇게 가르치셨다. “한 사람이 두 주인을 섬기지 못할 것이니 혹 이를 미워하고 저를 사랑하거나 혹 이를 중히 여기고 저를 경히 여김이라 너희가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기지 못하느니라”(마6:24) 인간이 하나님과 돈(재물)을 동시에 섬길 수 없다는 것이다. 결국 돈과 하나님은 믿음의 경쟁 구도에 있다는 것이 예수님의 가르침이다. 

 

“한 사람이 두 주인을 섬기지 못할 것이니 혹 이를 미워하고 저를 사랑하거나 혹 이를 중히 여기고 저를 경히 여김이라 너희가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기지 못하느니라”(마6:24)

 

도박과 복권은 이러한 돈(만몬)이 하나님을 대체하는 우상으로 만드는 극단적인 예다. 그 이유는 도박과 복권이 어떤 종류의 노동이나 수고 없이 돈만 직접적으로 추구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도박과 복권에서 인간의 어떠한 노력과 수고 없이도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받는다는 복음의 원리와 매우 유사한 메커니즘을 발견할 수 있다. 도박과 복권은 놀이와 재미라는 가면을 쓰고 은혜의 복음을 대체하는 유사 복음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도박에 중독되게 만드는 ‘비합리적 도박 신념’은 돈이라는 종교에 헌신하게 만들어 도박에 중독되게 하는 일종의 ‘믿음’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박과 복권은 단순한 재미와 놀이가 아니라 기독교 신앙을 흔들고, 돈을 믿음의 대상으로 삼게 만드는 우상 숭배의 죄로 이어질 수 있다.

교회는 이 사실을 청소년들에게 가르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회 안에 온라인 도박에 빠진 학생들이 있다면, 교회는 이 문제를 단지 정신과 치료의 문제가 아니라 신앙의 문제로 인식하여 그 해결책과 도움을 함께 고민해야 해야 할 것이다.

 

도박과 복권은 놀이와 재미라는 가면을 쓰고 은혜의 복음을 대체하는 유사 복음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도박에 중독되게 만드는 ‘비합리적 도박 신념’은 돈이라는 종교에 헌신하게 만들어 도박에 중독되게 하는 일종의 ‘믿음’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박과 복권은 단순한 재미와 놀이가 아니라 기독교 신앙을 흔들고, 돈을 믿음의 대상으로 삼게 만드는 우상 숭배의 죄로 이어질 수 있다.

 


각주
1). 유레카 편집부, “온라인 도박에 빠진 평범한 아이들”, 『월간 유레카 5월』 (서울: 월간 유레카, 2024), 16-47.
2). https://kcgp.or.kr/pcMain.do
3). https://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4435
4).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5239612Y
5). 김진영, 배인경, 전종설, “청소년 도박문제의 경로: 문제적 및 병적 도박 경로모델의 적용”(보건사회연구 41(1), 2021), 325-342.
6). Cao D, Wang D, Liao Y, Liu Q (2022) Does “lottery culture” affect household financial decisions? Evidence from China. PLOS ONE 17(10): e0275717.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75717

 

이춘성 목사는 20-30대 대부분을 한국 라브리(L’Abri) 간사와 국제 라브리 회원으로 공동체를 찾은 손님들을 대접하는 환대 사역과 기독교 세계관을 가르쳤다. 현재 분당우리교회 협동 목사,  한기윤 사무국장으로 섬기고 있다.